[인플레이션 시대] 현금자산 vs 실물자산
본문 바로가기
[재능기부] 재테크/경제상식

[인플레이션 시대] 현금자산 vs 실물자산

by jth4808 2023. 2. 24.
반응형

안녕하세요
 
재능기부마켓입니다
오늘은 인플레이션 시대 어떻게 대응해야 할지 공부해 보겠습니다.
그럼 지금부터 알려드리겠습니다!


인플레이션 상황 현금 보유는 어리석은 행동?

인플레이션은 물가 상승을 의미합니다.

※물가 상승=화폐  가치 하락

 
극단적인 예를 들면 평소 100원을 주고 산 물건을 1000원을 주고 사야 합니다
현금 실물에는 변화가 없지만 물건의 가격은 점점 높아져서 과거와 같은 가격으로 살 수 없다는 것입니다

인플레이션 상황, 어떤 금융 자산을 보유해야 하나?

인플레이션은 두 종류로 나눌 수 있습니다

1. 실물 인플레이션

2. 자산 인플레이션

 
인플레이션이 왔다 =실물경제 & 금융자산 둘 다 상승한다고 볼 수 없습니다
실물 경제 물가가  상승하는 상황에서도 가격이 하락하는 물건도 존재합니다

인플레이션이 왔을 때 대부분의 사람들이 보유하려 하는 것은?

인플레가 왔다고 즉 물가가 엄청 오른다고 물건을 무조건 사재기를 할 순 없죠?
그러니 시중의 돈이 자연스럽게 금융자산을 보유하려고 할 겁니다
 
 현재 물가가 급격히 상승 중이죠?
물가 상승을 잡기 위해 미연준에서 빅스텝이니, 자이언스텝이니 해서 금리를 올리고 있는데
금리인상으로 과도하게 유동성이 몰려 있던 자산의 가격이 하락 중입니다
주식 식장, 부동산 모두 폭락장이라 해도 과언이 아닙니다
즉, 실물경제는 올라가는데(물가상승) 자산시장은 하락 중입니다
서로 다른 방향으로 등락하는 상황이 나타납니다
 
그렇게 되면 현금의 가치가 떨어지는 것을 보고 어떤 자산을 마구 사려고 하는 경향을 보입니다
대표적인 게 금이죠?
금리가 오르면 금, 달러 가치가 올라 수요가 몰려 금값이 올라갑니다.
내 돈의 가치는 떨어지는데 올라가는 금 투자해서 돈을 버는 겁니다

 

반응형

그래서 인플레이션, 현금자산 보유해야 하나?

금리 인상으로 경제가 둔화되고 자산시장이 흔들리는 중입니다
금리 인상으로 인플레이션을 잡을 수는 있지만 디플레이션(경기침체)을 야기시킬 수 있습니다
경기가 침제가 오면 고용률이 감소하고 고용률이 떨어지면 돈 쓸 사람이 없어 물가는 또 낮아지는 악순환의 반복입니다
이렇게 경기라는 게 들쑥날쑥하는 사이클에서는 전체 포트폴리오중에 현금을 일부 가지고 있다면 시장변화에 대응하기 가장 좋은 수단입니다
 
흔히들 말하죠?
경기가 좋을 때는 총알이 있어야 투자를 하지... 이미 다 부동산과 코인과 주식에 현금 올인
경기가 안 좋을 때는 현금이 최고다!! 투자하지 마라
 
지금은 현금을 보유해야 하는 시기이긴 하지만,,,
인플레이션 시대이건, 디플레이션 시대이건 분산투자의 일원으로 현금은 보유하고 있어야 된다는 결론입니다.


이상으로 인플레이션에 대한 정보 포스팅을 마칩니다.
 
감사합니다
 
 
 

반응형

'[재능기부] 재테크 > 경제상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기준금리와 시장금리의 정의  (0) 2023.03.15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