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준금리와 시장금리의 정의
본문 바로가기
[재능기부] 재테크/경제상식

기준금리와 시장금리의 정의

by jth4808 2023. 3. 15.
반응형

안녕하세요

코로나때부터 금리 얘기 많이 나왔죠?

은행금리를 올린다,내린다, 미국 연방준비제도에서 기준금리를 올린다 그런 얘기 많이 들어보셨죠?

기준금리?를 올린다고 하는데 그럼 기준금리가 무엇인지,기준금리를 올리고 내리면 시장이 어떻게 변화하는지 알아보겠습니다.


기준금리와 시장금리의 정의

수요: 돈을 빌리는 사람

공급: 돈을 빌려주는 사람

  • IMF 이전에는 기업투자▲ →  대출▲ → 수요▲ → 금리 ▲
  • IMF 이후에는 기업투자 ▼ → 대출  →수요 공급 금리

IMF 전에는 기업의 투자가 증가하여 대출 수요가 증가했고 수요 증가로 금리가 올라 고금리였습니다

하지만 IMF 이후에 기업의 투자가 감소하면서 대출이 감소했고, 그에 따라 시장에서 돈의 수요가 감소 했는데 시중은행들은 투자를 늘리기 위해 돈을 풀었고 그래서 금리가 감소하여 저금리 시대가 왔죠

 

기준금리 vs 시장금리

  • 시장금리는 수요와 공급에 의해 발생
  • 기준금리는 중앙은행이 통제하는 금리

예를 들어 한국은행이 기준금리를 0.5%라고 가정하면 시중 금리가 낮을시 시중에 돈을 회수하여 금리를 올리고, 시중 금리가 높을경우는 돈을 풀어 금리를 낮춰 기준금리에 맞춥니다

그러면 시중 금리에 따라 돈을 어떻게 회수 할까요?

 

1. 국채를 발행하여 돈을 빌려온다 

2. 증세를 하여 돈을 거둬들인다

 

증세를 하게 되면 국민들의 반발이 심하기 때문에 보통 국채를 발행합니다

국채를 발행하면 시중의 돈을 국가가 걷어들이게 되서(개인이나 기업이 국채에 투자, 나라에 돈을 맡김) 시장에서 돈의 양이 줄어들죠

그러면 시중의 돈의 양이 줄어드니 수요와 공급의 원리에 의해 금리가 올라가겠죠?

이런 방법으로 시중금리에 따라 시장금리를 만지작 만지작 하게 됩니다.

* 정리하면 정부재정지출 증가 → 국채 증가 → 시중금리 증가 → 민간 이자부담 증가

 

*국채: 채권은 정부나 공공기관 및 일반 기업들이 투자자들로부터 자금을 조달하기 위해 발행하는 차용증서다.
국채는 국가가 발행하는 채권으로, 조세와 함께 중요한 국가 재원의 하나이다.

상대적으로 국가가 원리금 지급을 보장하기 떄문에 안정성이 높다


이상으로 시중금리와 기준금리에 대한 스팅을 마칩니다.

감사합니다

반응형

댓글